◎Linux에서는 모든 것이 파일 단위로 구성되며 계층적 구조를 형성하고 파일이름, I-node,데이터 블록의 세가지 요소를 갖고있다.
-파일이름 : 사용자가 파일을 접근하고 조작하는데 사용
-I-node : 파일을 기술하는 디스크 상의 데이터 구조. 파일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
I-node는 각각의 파티션 마다 0부터 시작하는 정수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서로 다른 파티션이라도 같은 I-node를 가질수 있음.
*I-node에 저장된 정보 : 파일의 소유자(사용자,그룹), 파일의 액세스 모드, 파일의 타임스탬프(파일의 마지막 수정, 액세스), 파일의 종류.
*I-node확인
-데이터 블록 : 실제 파일 데이터 영역
-일반 파일 : 파일의 종류에 대해 확인 가능
|
|
|
|
#ls -lF
-rw-r--r-- 1 root root 1301 7월 18 16:55 anaconda-ks.cfg |
|
|
|
|
-디렉토리 파일 : 특수 파일로 서로 연관되어 있는 파일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만들어 저장하도록 구분되어 있는 공간을 의미. 디렉토리에는 최소 2개의 I-node번호를 포함함 -> 현재디렉토리를 의미하는 . 과 상위 디렉토리를 의미하는 .. 의 I-node번호 존재.
-링크 파일
*심볼릭 링크 =소프트 링크 : 윈도우의 바로가기 아이콘과 비슷. 다른 파일로의 경로를 가리키는 파일이므로 심볼릭 링크 파일이 삭제가 되어도 실제 원본 파일에는 영향을 주지 않음.
서로 다른 파일 시스템 내에서도 링크가 가능
명령어 위치(/bin/ln)
|
|
|
|
#ln -s [원본파일] [심볼릭링크 파일]
ex)
#ls -il /dir1/file1
1268199 lrwxrwxrwx 1 root root 11 9월 21 13:26 dir1/file1 -> /root.file1
// /root/file1을 /root/dir1/file1으로 심볼릭 링크를 만든후 확인
|
|
|
|
|
-하드 링크 : 원본 파일을 복사한 다음 사본을 만듬. 동일한 I-node를 갖는 파일을 생성하는 것.
명령어 위치(/bin/ln)
|
|
|
|
#ln [원본파일] [하드링크파일]
ex)
#ls -il dir1/file1
1268195 -rw-r--r-- 2 root root 0 9월 20 00:28 dir1/file1
#ls -il file1
1268195 -rw-r--r-- 2 root root 0 9월 20 00:28 file1
|
|
|
|
|
-디바이스 파일 : 하드웨어나 주변 기기들 나타내는 파일 ex)하드디스크, 플로피 디스크, 프린터, 마으스 등..
*블록 디바이스 파일(Block Device File) : 입,출력시에 커널 내의 특정 버퍼들을 이용. 한번에 크기가 큰 블록 단위로 데이터를 입출력.
블록 디바이스 파일을 사용하는 Device : 하드디스크, 플로피 디스크, 데이프 드리아버, 광자기 드라이브
|
|
|
|
#ls -l
brw-rw---- 1 root root ~~~~~~~~~~~ |
|
|
|
|
*캐릭터 디바이스 파일(Character Device File) : 시스템의 I/O 버퍼를 사용하지 않고 바이트 단위로 데이터를 입출력함.
캐릭터 디바이스 파일을 사용하는 Device: 터미널, 프린터, 플로터
|
|
|
|
#ls -l
crw-rw---- 1 root root ~~~~~~~~~~~~~~~
|
|
|
|
|